[앵커] <br />송영무 국방장관이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전술핵무기 재배치 여부에 관해 언급한 것을 놓고 논란이 있고 있습니다. 전술핵이 무엇인지, 왜 논란이 되는지를 김주환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김주환 기자!<br /><br />먼저 논란이 어떤 건지 짚어보기 전에 전술핵무기 이게 어떤 건지 먼저 짚고 갈까요?<br /><br />[기자] <br />일단 전술이라는 말에 전력에 비해서 규모가 작다, 이렇게 설명을 드릴 수 있고요. 전쟁이 나면 국지전에서 특정 군사목표를 공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핵무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전술핵무기가 운반 수단의 사정거리가 작고, 폭발 위력이 작다. 물론 국제규범이 있는 건 아닙니다. 통상 20킬로톤 이하를 전술핵무기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에는 핵대포라고 있었고요. 요즘은 단거리미사일이나 비행기 등에 붙여서 공대지 미사일 형태로 유사시에 사용하려는 그런 움직임이 있고요. 그래서 요즘은 스마트 전술핵폭탄이다 이런 것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인명살상을 최소화하고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전술핵무기다 이렇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김주환 기자, 지금 얘기해 주신 전술핵무기가 한반도에 배치된 적이 과거에 있었습니까? <br /><br />[기자] <br />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8년부터 주한미군이 군산을 춘천, 동두천 이렇게 주요 주한미군 기지가 있었는데 여기에 배치하기 시작했었습니다.<br /><br />그 당시 배경을 보면 1958년도에는 한국전쟁에 참가했던 북한에 주둔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이 모두 철수했었습니다. 그런데 그 당시 동북아의 공백기를 이용해서 미국이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서 이른바 롤백정책을 추진하고 있었습니다. 그때 그 일환의 한 수단으로 한반도에 전술핵무기를 상당 부분 배치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1991년도 탈냉전 이후에 그해 9월 조지 부시 대통령이 핵무기 감축 선언을 했고요. 역시 그 해 우리 노태우 정부 당시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했습니다. 그리고 그 후에 모두 철수했죠. 그래서 청취자 여러분들이나 시청자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개념이 1991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오는 겁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렇군요. 그런데 지금에 와서 왜 다시 이 전술핵무기 이 부분이 수면 위로 왜 다시 올라오고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 <br />사실 이번이 처음은 아니죠. 작년 9월 9일에 제5차 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0111455701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